창업자 커뮤니티

뒤로가기
(기한: 미국 시간 기준 9월 29일) 「K-Startup Silicon Valley 2025」 사업 참여기업 모집공고
2025.09.19 16:45:55 2025SNK
39

  실리콘밸리의 혁신기술과 스타트업 생태계에 최적화된 현지창업 지원을 위한K-Startup Silicon Valley 2025사업 참여기업을 하기와 같이 모집공고 합니다.

2025  09 15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


 

 1. 사업 개요

 

 

 

  (사업목적) 현지의 기술·창업 트렌드 맞춤형 사업화지원을 통한 유망 스타트업 발굴·육성 및 후속 연계지원 성과창출 기반 마련

 

  참여기업 중 현지진출 유망기업에 대해 26년 신규 개소 예정인 KSC 실리콘밸리 입주기업 선정 및 후속 프로그램 적극 연계

 

KSC 실리콘밸리 (100 Middlefield Rd, MenloPark, CA 94025)

한국벤처투자, 창업진흥원 등과 함께 스타트업 전용 사무공간, 오픈스페이스 통합사무소 형태로 26.1월 개소 예정 (25.10월 이후 입주기업 모집공고 예정)

 

 

  (사업기간) 2025.10~12 (3개월 이내)

 

  (지원규모) 20개사

 

  (지원내용) 현지 사업화 전략수립부터 기술 실증화, 마케팅, 투자유치·비즈니스 매칭 유력행사 연계까지 단계별 밀착 지원

 

  (지원방식) 실리콘밸리 내 엑셀러레이팅 경험과 역량, 투자연계 기능을 보유한 전문 수행기관 선발 후 참여기업과 매칭하여 지원

 

  (수행기관) 중진공 KSC 실리콘밸리에서 현지 입찰공고를 통해 최종 2개 기관 선정: 1) Prime Tech Ventures, 2) Team of Wakers

 

   - 참여기업은 2 수행기관 프로그램 1하여 신청 가능(중복 불가)

) 수행기관별 참여기업은 기본적으로 10개사 내외 선발 예정

) , 수요에 따라 총 20개사 내에서 수행기관별 참여기업수 조정가능(8~12개사)

) 별첨: 프라임텍벤처스 팀오브웨이커스 모집전형 및 사업화지원 프로그램 안내

 

 

 2. 지원 내용

 

 

 

 󰊱 현지화 교육·역량진단 및 사업화 전략 수립

 

  (교육·역량진단) 현지 AC, 마케터, 기술인력 분야별 전문가를 활용한 참여기업의 Stage, Industry 유형·단계별 교육 역량진단

 

  (사업화전략) 역량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참여기업의 KPI 도출, 체계화 제품·기술 시장분석 등을 통한 현지사업화 전략수립 지원

 

 󰊲 현지시장 맞춤형(Market Fit) 실증화 및 마케팅

 

  (POC/PMF) 참여기업별 제품·기술 현지 실증화의 완성도를 높일 있는 POC/PMF 결과물 도출 파일럿, 테스트마케팅 지원

 

  (마케팅·세일즈) 비즈니스 역량과 네트워크를 보유한 현지 전문가 등을 활용한 현지화 마케팅, 맞춤형 바이어 유통망 연결

 

 󰊳 투자유치 역량강화

 

  (IR전략수립) 참여기업별 시장성, 기술력 등 데이터 분석 기반의 투자 계약, 형태, 지분 전략적 현지 투자유치를 위한 계획 수립

 

  (피칭 역량강화) 참여기업의 기술, BM 소구할 있는 스토리텔링 기반의 IR 피칭, 피치덱 제작·고도화 현지 맞춤형 IR 역량강화

 

  (Closed IR) 참여기업별 아이템, 규모 등을 고려한 현지 AC·VC 현지투자자(기업) 지속적 매칭을 통한 Closed IR 프로그램 운영

 

 󰊴 글로벌 스타트업 네트워킹 및 후속 연계

 

  (글로벌 네트워킹) 25 4분기 개최 예정인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행사 참가지원을 통한 참여기업의 네트워킹 기회 확대

 

     * 10 Tech Crunch Disrupt, 11 Plug & Play Winter Summit

 

   - 현지 민간 행사와 더불어,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유관기관 등에서 주최하는 정부 스타트업 행사 등에 대한 참가지원 연계

 

  (후속 연계) 현지 정착을 위한 분야별 전문가 자문*, KSC 실리콘밸리 정식 개소(26.1) 우수기업 입주지원**, 투자유치 연계지원 예정

 

     * 법률, 세무, 고용·비자, 기술, 투자 등 실리콘밸리에 소재한 전문가 풀을 구축하여 참여기업과 매칭 후 기업별 자문수당을 바우처 방식으로 별도지원(동 사업 외)

 

    ** 참고 1: KSC 실리콘밸리(통합사무소) 개요 (별도 심사평가를 통해 최종 입주 승인)

 

 3. 신청자격 및 지원대상

 

 

 

  (신청자격) 「중소기업기본법」 2조에 따른 중소기업으로서, 지원 제외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다음 페이지 상단의 네모박스 참조)

 

   (지원대상) 공고일 기준 업력 7년 미만의 실리콘밸리 기진출, 또는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창업기업 (, 신산업창업분야*는 업력 10년 미만)

     * 참고 2: 신산업 창업분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상의 창업기업에 해당되는 국외창업기업*, 플립기업**도 지원가능

 

     * 한국인 또는 국내 법인이 국외(미국)에서 법인을 설립해 주식 총수 또는 출자 지분 총액의 일정규모 이상을 보유, 실질 지배력을 행사하는 7년 미만 기업

 

    ** 해외(미국)에 지주회사 또는 본사를 신설하고 국내 회사를 자회사로 전환한 기업

 

  혁신성장, 초격차·신산업 분야 등 현지 특화 업종 영위기업 우대

 

  동 사업 지원기업 참여 인력의 직급은 C-Level 이상으로 함

 

< 지원 제외 대상 >

 

 

 

·폐업 기업 또는 가동 중에 있지 않은 기업

대표자 또는 기업이 국세 또는 지방세 체납중인 경우

대표자 또는 기업이 민사집행법에 의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 전국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 집중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경우

  * , 신용회복위원회의 프리워크아웃, 개인워크아웃 제도에서 채무조정합의서를 체결한 자,

    법원의 개인회생제도에서 변제계획인가를 받거나 파산면책 선고자,

    회생인가를 받은 기업, 중진공 등으로부터 재창업자금을 지원받은 자 등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 재기지원 필요성을 인정받은 자(기업)는 참여 가능

대표자 또는 기업이 보조금법 위반 등 정부지원사업 참여제한 중인 경우

대표자 또는 기업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행산업 등 국민 정서상 지원이 부적절한 업종* 영위 기업 (참고 3)

   * 통계청 고시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며, 매출액 비중이 가장 큰 업종을 기준으로 함

 

 

 4. 신청·접수 및 평가·선정

 

 

 

  (신청기간) 2025.09.15.() ~ 2025.09.29.() (미국 날짜 기준)

 

  (신청방법) 제반 제출서류 작성 발급 선택한 수행기관으로 이메일 접수( 1하여 신청접수, 중복신청 불가)

 

 

수행기관별(1 하여 신청)

PrimeTech & SRI Program Banner_HD.png
신청접수 이메일 주소

1) Prime Tech Ventures

2) Team of Wakers

 

 

  필수 제출서류

 

  국문 참가신청서 날인본 (법인인감* 날인 必) [붙임1 양식 작성]

 * 개인기업은 개인인감 날인 또는 대표자 자필 서명 가능

 

  영문 참가신청서 (Application for K-Startup Silicon Valley 2025) [붙임1 양식 작성]

 

  회사 소개자료(IR Deck 또는 영문 소개자료 등) [붙임1 내용 참조]

 

  (국내) 사업자등록증명원 및 법인등기사항증명서 1(3개월 이내 발급분) 

 

  동 사업 참여 인력 재직증명서 1 (개인기업의 대표일 경우는 불필요)

 

  (국내) 신용정보제공동의서(기업/개인) 1 [붙임2 양식 날인]

 - (법인) 인감 날인 필수(서명 불가), (개인) 인감날인 또는 서명

 

 

  (선정평가) 서류심사(중진공 선발평가(수행기관별) 최종 선정위원회(중진공)

 

  (서류심사) 서류 완결성, 기본요건, 지원제외 여부 등 자격 심사

 

  (선발평가) 신청시 선택한 수행기관별 심사기준 및 형식 등에 의거한 현지진출 준비도, 제품 시장성, 사업성 등 종합평가 (영어 발표 PT)

 

     * 신청시 제출한 영문 참가신청서 및 영문 소개자료 기준 발표 및 Q&A (수행기관별)

 

  (선정위원회) 서류심사 및 선발평가 결과에 대한 중진공의 선정위원회를 통해 사업 참여기업 최종 선정평가 결과 확정

 

   - 수행기관별 신청접수 현황(우수 창업기업 수요), 평가결과(내용, 순위) 등을 종합 고려, 각각의 지원기업수(수행물량) 배정하여 최종 선정

 

 5. 유의사항 및 문의처

 

 

 

  (유의사항) 다음과 같은 경우 선정 취소, 정부사업 참여제한 및 정부지원금 환수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음

 

  참여기업이 공고문 관련 규정 등에 위배 되거나, 참여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 기재 또는 고의 누락한 경우 (제출서류 미제출의 경우도 해당)

 

  선정된 타당한 사유 없이 사업 참여에 비협조적이거나 중도 취소하는 경우(참여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불성실 기업도 중도취소 조치 가능)

 

  문의처

 

구분

문의처

이메일 문의

1) 사업내용, 신청서류,

   자격요건 등 관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KSC 실리콘밸리

sarchery@kosmes.or.kr

(김영준 소장)

2) 수행기관별 프로그램,

   세부 지원내용 등 관련

Prime Tech Ventures

Team of Wakers

 

참고1

 

 KSC 실리콘밸리 통합사무소 개요

 

 

(목적) 실리콘밸리에 글로벌창업 유관기관 협력하여 운영하는 통합사무소* 신설을 통해 스타트업의 글로벌진출 원스톱지원 성과제고

 

    * 旣 운영 KVIC 사무소 확대·이전 + KSC 실리콘밸리 신규개소 (통합지원 거점 신설)

 

(추진방향) 글로벌 진출 유망 스타트업 공동 발굴·육성, 사업간 연결 및 확장을 통한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정책 패키지 지원 추진

 

(주요기능) 스타트업 입주 공간, 현지 투자유치 네트워킹, 글로벌펀드 운용관리, 현지 VC 거점제공 금융정책 지원사업 연계

 

통합사무소 구축()

 

  (추진방식) KVIC이 기존 건물 매입 후 KSC 실리콘밸리 공간 임차

 

  (위치) 실리콘밸리 멘로파크(100 Middlefield Rd. Menlo Park, CA 94040)

 

  (면적) 면적 961 (290, 2), 외부 주차공간(32 가능)

 

  (공간구성) 1 VC/기업 공용공간, 2 전용 공간 회의실 구성

 

    * KVIC에서 매입 절차 완료 후 리모델링 설계 및 인테리어 공사 착수(25.6~12)

 

 

참고2

 

 신산업 창업분야

 

 

  출처 :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 25(유망신산업·기술 창업기업 집중 육성)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빅데이터

전기수소차

신재생에너지

5G+

바이오

이차전지

블록체인

의료기기

CCUS

(탄소포집 · 활용 · 저장)

서비스플랫폼

기능성 식품

자원순환 및 에너지 재활용

실감형 콘텐츠

드론 · 개인이동수단

우주

지능형 로봇

미래형 선박

차세대 원전

스마트제조

재난 / 안전

양자

시스템반도체

스마트시티

사이버 보안

 

참고3

 

 지원 제외 업종

 

 

업종 분류

산업분류코드

(KSIC)

제외 대상 업종

제조업

33402

불건전 영상게임기 제조업

33409

도박기계 및 사행성, 불건전 오락기구 제조업

건설업

4142

건설업(, 산업 생산시설 종합 건설업(41225), 환경설비 건설업(41224),  조경 건설업(41226), 배관 및 냉·난방 공사업(42201), 건물용 기계·장비 설치 공사업(42202), 방음, 방진 및 내화 공사업(42203), 소방시설 공사업(42204), 전기 및 통신공사업(423)은 지원가능 업종)

도매 및 소매업

46102

담배 중개업

46~47

도박기계 및 사행성, 불건전 오락기구 중개 및 도소매업

사행성, 사치성 상품 중개업 및 도소매업, 주류, 담매 소매업

46331, 3

주류, 담배 도매업(, 주류 중개업 면허보유 기업은 지원 가능)

47859

성인용품 판매점

47993

다단계 방문판매

숙박 및 음식점업

5621

주점업

정보통신업

58

경마, 경륜, 경정 등 사행성 잡지 발행업,
불건전 게임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59142

비디오물 감상실 운영업

정보서비스업

63999

온라인게임 아이템 중개업,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 자산매매 및 중개업(63999-1)

금융 및 보험업

6466

금융 및 보험업(,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핀테크 기업 중
그 외 기타 금융 지원 서비스업(66199)은 지원 가능)

부동산업

68

부동산업

전문서비스업

711~2

법무, 회계 및 세무 관련 서비스업

7151

회사본부

수의업

731

수의업

사업 지원 서비스업

75330

탐정 및 조사 서비스업

75999

경품용 상품권 발행업 또는 판매업

임대업

76390

도박기계 및 사행성, 불건전 오락기구 임대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84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교육서비스업

851~854

고등 교육기관 및 특수학교

855~856

일반교과 및 입시 교육

보건업

86

보건업 (, 사회적경제기업은 지원 가능)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91113

경주장 및 동물 경기장 운영업

9124

사행시설 관리 및 운영업

91291

무도장 운영업

협회 및 단체

94

협회 및 단체 (, 「중소기업 기본법 제2조 중소기업자」에 해당하는 경우 지원가능)

기타 개인 서비스업

96992

점술 및 유사서비스업

가구 내 고용 및 자가소비 생산활동

9798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별도로 분류되지 않는 자가소비 생산활동

국제 및 외국기관

99

국제 및 외국기관

 

* 업종을 변형하여 운영되는 도박, 향락 등 불건전 업종, 보건 및 건전문화에 반하거나 사치, 투기조장, 국가 명예 실추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업종은 지원 제외 


댓글0
0 / 1000자